
서버에 https 설정하기 위해 이것저것 하라는게 많은데, 여러번 설치 해보면서 깔끔하게 필요한것만 정리해놨음. Nginx 를 통해 진행한다. // Nginx 설치 $ sudo apt-get install nginx /etc/nginx/nginx.conf 위 경로 파일을 통해 앞으로의 Nginx 설정을 진행함. (기억해두기) (TIP) 필자는 해당 /etc/nginx 경로로 그냥 vscode를 켜서 진행한다. vscode로 수정할 때 permission 에러가 뜨지 않게 'chown -R [사용자]:[그룹] [디렉토리명]' 을 미리 설정해두자 // certbot 설치 $ sudo apt install certbot $ sudo apt install python-certbot-nginx (혹은 python..

Node (Express) 내의 라우터에서 사용자의 IP를 불러오는 방식은 다양함. 필자가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. 1. request 로 들어오는 header 사용 req.headers["x-real-ip"] 2. request-ip API 사용 const requestIp = require("request-ip") requestIp.getClientIp(req) 서버를 Nginx로 구축하였을 때, IP가 0.0.0.0 혹은 127.0.0.1 (localhost) 와 같이 제대로 안 불러와지는 현상이 있음. 해당 경우에는 nginx.conf 설정에서 IP 가 뜨도록 설정해줄 수 있음. /etc/nginx/nginx.conf 파일에서 (설정한 환경에 따라 /etc/nginx/sites-enable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MacOS
- git
- Computer Vision
- Neural Radiance Field
- Android
- MySQL
- ubuntu
- 3Dvision
- Macbook
- numpy
- CUDA
- Python
- GPU
- pytorch
- Machine Learning
- Novel View Synthesis
- nvidia
- 우분투
- Deep Learning
- SSH
- java
- 2-stage Detector
- Object Detection
- Anaconda
- nerf
- GaussianSplatting
- vscode
- Docker
- nginx
- erro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